|
>
|
● 논문개요들입니다 |
|
|
|
글쓴이 : 운아
날짜 : 08-07-11 10:46
조회 : 28585
|
|
● 中國 延邊 朝鮮族 傳統民家의 形式的 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ing Types of Korean-Chinese Community in Yen-Bien (延邊) , China)
중국에 사는 조선민족은 19세기 중엽부터는 고국의 흉년으로 인한 가난과 기아, 그리고 20세기에 이르러 일제의 한반도 강점 이후에는 일본의 조선 농민에 대한 착취와 수탈로부터 벗어나고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1930년대 후반에는 일제의 만주개척에 따른 강압적인 이주정책에 의하여 중국으로 건너간 우리 민족이다. 해방이후 그들중 다수(당시 총이주자 170만명 중 약40%인 70만명 정도)가 다시 고국으로 돌아 왔으나 나머지는 여전히 그곳에 남아 정착하였는데 그들은 주로 중국의 동북지역에 조선인 마을을 이루며 살고 있다. 본 연구는 먼저 조선민족이 다수 거주하는 연변 자치주 지역 전체를 대상으로 전통민가에 대한 평면, 배치, 구조, 설비, 재료, 외관, 의장 등 건축적자료를 수집한다. 그리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연변 지역 민가의 평면 형식의 전체적 성격과 원형, 기본형, 발전의 관계와 구조를 밝힌다. 마지막으로 지역적 특성에 따른 평면 유형과 확장 형태를 탐구하였다.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통해 첫째로, 평면의 원형과 변형을 조사하였고 둘째로, 주 가옥의 사용 실태와 부속 공간 배치에 따른 생활 공간의 확장과 기능을 파악하였다. 셋째로, 평면의 유형과 지역적 특성을 찾아내었다. 그 외에 목구조 형식과 건축재료, 지붕의 형식, 창호의 이용 현황 등을 파악하였다.
● 中國 東北地域 韓人同胞(朝鮮族) 傳統民家平面의 形式(The Housing Plan Types of Korean-Chinese Community in North-East Chin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housing form.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houses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by the form of their plans. One is ‘Open type', which is composed of single space called 'JUNGJI' without any partition wall between room and kitchen. The other is 'Seperated type' which is composed of dual spaces divided by the partition wall between room and kitchen. And the former is more general type than the latter. The shape of most Open type houses are rectangular of which four bay front length faced to south is longer compared with depth. And the types of houses are related to the region in Korea from where residents or their ancestors moved. Most of the houses of Korean-Chinese from north Korea are 'Open type'. By contrary the type of houses of ones from south Korea tends to be 'Seperated type'.
● 中國 遼寧省 滿洲族, 漢族, 朝鮮族 民家 사이의 상호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The Inter-Forms Between Manchurian, Chinese and Korean's Traditional Houses in Liaoning-Province, China)
중국 동북부 요녕성의 조선족, 만주족, 한족 세 민족은 오랜 역사 동안 상호교류가 있었던 민족들로써, 이러한 상호영향이 민가에 있어 나타나는 현상을 추적하여, 각 민족 민가의 변화에 있어 나타나는 현상을 파악하고, 특히 그 영향관계를 소규모 민가를 대상으로 평면구성 방식, 캉의 형식, 생활 관습 및 세부처리로 나누어 분석하면, 만주족 민가는 한족의 영향으로 인해 중앙의 부엌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인 평면 형식이 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캉의 형태는 고유의 ㄷ자캉에서 일자캉으로 변화하게 된다. 조선족 민가는 부엌인 정지가 한쪽에 있고, 전면 온돌로 이루어진 3칸형식이 만주족의 영향으로는 캉의 형식을 변화가 한족의 영향으로는 평면구성방식의 변화가 일어난다. 한족 민가의 경우는 한족 민가의 획일적인 특성으로 인해 변화의 정도는 다른 두 민족에 비해 가장 적지만, 일부 사례에서는 다른 두 민족 캉의 영향으로 부분적으로 캉의 크기가 커지거나, 형태가 바뀐다. 본 연구는 만주족 민가 변화의 요인의 하나인 타민족과의 상호영향관계를 확대하여 遼寧省에 거주하는 한족, 조선족, 만주족 민가를 대상으로 각 민족 민가의 기본 형식에서 나타나는 유사성과 차이점을 알아보고, 또한 각 민족 민가의 변화에 있어 나타나는 상호영향관계를 분석하려고 한다. 동북아 역사에 있어 이 세 민족은 광범위한 상호영향관계가 있었고, 이러한 상호영향관계가 주거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추적하는 것은 遼寧省을 비롯한 중국 동북부 지역민가를 이해하는 발판이 되며, 동북아 민가 계통을 밝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중국 동북부 지역의 세 민족의 영향관계를 알아봄으로써 이 지역의 민가의 계통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조선족 민가를 요녕성의 지역민가로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며, 넓게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한국민가를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中國 遼寧省 滿洲族 民家의 특성과 그 유형에 관한 연구(The Types and Characters of Manchurian Houses in Liaoning-Province, China)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 and characteristics of Manchurian Houses in Liaoning-Province, China. Study examples were investigated at the site through drawing of plan as well as interview of residents. Although present examples aren't preserved the original feature of Manchurian houses, original type and their patterns of change could be identified. This paper clarified two typical plan types as original cases and revealed variou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usage of space, which have important historical connec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 북한의 주택 및 건축기술 실태조사와 계획방향 제시 연구( Housing Condition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in North-Korea and Housing Planning )
과거 미온적인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앞으로 계속 개선되는 남북관계의 상황에 따라 개괄적인 북한의 건축관련 수준을 판단할 자료체계를 구축하고 북한의 생활양식 및 주거상황을 고려한 주택건설을 위한 종합적인 준비를 위한 기초연구임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