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Home     즐겨찾기/Favorites
     로그인/Login     가입/Join
 
Home
主页
학회안내
Orientation
介绍
학회자료
Data
资料
논문투고
Presentation Paper
论文投稿
관련단체
Link
链接
입회안내
Join Us
入会介绍
게시판
Community
论坛
통합검색
구들  |  김준봉  |  사진  |  %  |  %E  |  Ã©â€¡â€˜  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게시판Community论坛 > 공지사항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불같은 민족이라 했다. 싸움을 잘 해서일까? 빨리 빨리를 외치는 정열적인 사랑을 하는 듯이 뜨거워서 일까? 우리는 일을 열심히 하는 이를 보면 ‘물불을 안가린다’라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09-09-21 13:59     조회 : 12472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불같은 민족이라 했다. 싸움을 잘 해서일까? 빨리 빨리를 외치는 정열적인 사랑을 하는 듯이 뜨거워서 일까? 우리는 일을 열심히 하는 이를 보면 ‘물불을 안가린다’라고 말한다. 물과 불은 글자모양도 비슷하다. 물에 뿔이 나면 불이된다.

원시 인류에게 처음 발견된 불은 무서운 존재였다. 모든 것을 살라 버리는 불. 그리고 아직 뜨겁지 않아도 항상 메케한 연기와 함께 오는 불은 더 무서웠다. 불에 타기도 전에 숨이 막혀 맹수들 조차도 힘없이 죽어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불은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열쇄였다. 태양이 진 후의 어두움은 인간에게는 공포였지만 불로 인해 다시 밝은 빛과 따뜻함을 회복할 수 있었기 때문이리라. 그래서 불은 인간에게는 최초의 위대한 발견이다. 그 불로 흙으로 만든 그릇을 단단하게 구워냈다. 흙을 돌(세라믹)로 만드는 것은 불이다. 흙은 물에 녹지만 돌(세라믹)은 물에 녹지 않는다. 철을 녹여 만든 에밀레종은 불의 예술이다. 고려자기를 만든 한민족은 이와 같이 불을 잘 다루는 민족이다. 불의 따뜻함으로 참으로 길고도 추운 겨울밤을 오순도순 가족과 함께 지낼 수 있게 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은 골치 아픈 존재였다. 뜻하지 않은 화재로 모든 것을 앗아 갔다. 항상 불은 두려운 연기와 함께 왔다. 불이 가는 곳에는 연기가 있고 그 연기는 숨 쉬는 모든 생물을 위협했다. 불은 원하지만  연기는 원하지 않았다. 그러나 불과 연기는 한 몸이 아닌가?

뜨거운  불을 오래 간직하고 불을 연기와 분리시킬 수 는 없을 까? 불의 발견과 더불어 나온 인류 최대의 숙제였다. 서양인들은 모닥불과 벽난로를 고안했다. 불은 모여야 잘 타므로 모닥불은 불을 잘 살게 한다. 그 모닥불 위에 그릇을 올려놓고 음식을 익히는 광경은 서부 영화를 보면 잘 나타나 있다.  그러나 나무집 속에 있는 벽난로는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발견이었으리라. 불을 집안에서 따로 분리해서 사용하기 시작한 최초의 불 저장 창고인 샘이다. 그러나 그 벽난로라고 불리는 불 창고는  뜨거운 열기를 너무 쉽게 밖으로 배출하고 만다. 그리고 가장 뜨거운 불의 꼭지 부분을 사용하지 못한 체 불의 옆 부분을 쓸 뿐이다. 불을 때서 불 옆에 솟을 놓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당연히 어떻게 해서든지 냄비는 불 위에다가 놓아야 빨이 끓을 수 있다는 것은 상식 중에서도 상식이다. 그러나 벽난로는 그러한 상식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우리 한 민족은 이러한 불의 속성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이용한 민족이다. 바로 구들이라 불리는 전통온돌이 그것이다. 불과 연기를 따로 사용하고 불을 누여서 불기운 중 가장 뜨거운 부분을 사용한, 그리고 취사와 동시에 폐열과 여열을 이용한 그야말로 저탄소 친환경 지속가능한 에너지의 사용의 총화이다.




이와 같이  온돌은 우리 한민족에 있어서 한식의 김치, 한복, 한옥, 한지 , 한과,  등과 더불어 의식주 문화의 뿌리이자 계승 문화 중 하나이다. 전통의 온돌난방은 아궁이에 열을 가하면 방바닥 아래의 공간을 따라 열이 이동하면서 바닥에 저장되고, 이것이 서서히 방열(放熱)되면서 실내를 따뜻하게 유지시키는 방식이다. 온돌은 복사와 전도, 대류라는 열 전달의 3요소를 모두 갖춘, 현대사회를 통틀어 가장 합리적인 난방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전통의 온돌이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은 바로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생활 에너지 기기인 ‘보일러’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과거의 온돌난방이 불을 때어 방바닥 아래의 구들을 데움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복사열에 의하여 방안과의 열평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직화 난방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바닥에 불을 피우지 않고 별도의 가정용 보일러를 이용하여 원하는 난방수의 온도를 맞추는 열 매체인 물을 이용한 간접난방 방식이다. 열원을 만들어 내는 수단만 바뀌었을 뿐 기본적인 온돌난방의 메커니즘은 그대로 이어져 오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온돌난방을 구현하는 보일러와 ‘최적의 온돌난방’을 가능케 하는 보일러는 전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 복사난방 방식으로 분류되는 온돌은 사용하는 열원, 즉 연료의 특성에 따라 그 구조와 형식이 조금씩 다르며, 이는 경제적·사회적 변화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전통적 구들과 연탄이 혼합된 방식에서부터 현재 주류를 이루고 있는 가스보일러를 이용한 난방까지 온돌은 그 자체로 다른 난방 방식에 비해 과학적이고 친환경적임에 틀림이 없지만, 열원을 무엇으로 사용하는가, 그리고 열효율을 얼마나 극대화할 수 있는가에 따라 그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온돌이 가진 여러 가지 장점을 최대한 계승하여 보다 적은 연료로 보다 많은 열에너지를 오랜 시간 사용할 수 있는 기술력의 확보와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의 정비가 무엇보다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보일러가 가정에너지 소비의 8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에너지절감을 위한 고효율 성능과 더불어 환경오염 및 기후변화협약에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동반하는 것이 우리 온돌을 제대로 계승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수천 년 이상 온돌문화를 이어온 종주국으로서의 역사적·문화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물과 불을 다루는 소형 보일러 분야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축적하고 있다. 현재 100%온돌바닥을 주거에서 사용하는 민족은 전 세계에서 우리 뿐이다. 그런데 수많은 보일러들 중 우리의 온돌문화와 결합했을 때 가장 크게 진가를 발휘하는 것은 바로 '콘덴싱보일러'이다. 지난 2005년 6월 독일의 칼스루에(Karlsruhe)대학과 DVGW가 공동으로 발표한 전 세계 난방시스템에 대한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이 연구결과는 바닥난방 시스템 즉, 온돌에서는 콘덴싱보일러가 열효율이 가장 높으며, 내구성 및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바닥난방 시 방바닥의 온도는 31℃ 정도가 되는 것이 인체에 가장 이로우며, 이에 따른 바닥난방에 가장 적절한 난방수 온도는 40~50˚C로 콘덴싱보일러가 온돌난방에 가장 적합한 난방 기술임을 입증했다.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경동나비엔의 콘덴싱보일러가 이 중온난방수를 통한 난방이 가능하다. 지난 1988년 국내 최초로 '콘덴싱'이라는 선진 유럽 기술을 도입한 이래 자체 기술력으로 승화시키며 현재까지 보급을 주도하고 있는 경동나비엔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ASA(Auto Sense&Adaptive) 쾌적온돌난방 적응제어 시스템’이라는 기술로 온돌의 장점을 극대화시켰다. 또 온돌은 축열하는 특성이 있어 온도를 일반적인 서양의 공기난방에 의한 실내온도 방식으로 제어하게 되면 ‘더웠다 추웠다’하는 ‘온도 널뛰기 현상’이 발생하는데 경동나비엔의 콘덴싱보일러는 이 점도 극복해 기존 보일러가 가지지 못했던 한 차원 업그레이드 된 제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콘덴싱보일러는 연소 시 발생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잠열을 최대한 이용하는데 일반보일러에 비해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열효율이 훨씬 높다. 열효율이 높은 만큼 NOx와 SOx 등 유해가스의 배출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환경 훼손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그래서 ‘쿄토의정서’에 의한 기후변화협약이후 세계적으로 관심사가 된 CO2 감축을 위해 미국·영국·독일·네덜란드 등 선진유럽과 일본 등에서는 정부 법제화나 보조금 지급을 통해 콘덴싱보일러 보급에 앞장서거나 의무적으로 콘덴싱보일러만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콘덴싱보일러의 점유율이 영국의 경우는 85%, 네덜란드의 경우 95% 이상에 이르고 있으며, 관련 기술개발 또한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조금 늦은 감이 없지 않지만 우리 정부에서도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환경정책 기조 하에 효율 관련 법을 개정하는 등 콘덴싱보일러의 권장 및 보급이라는 노선을 택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식 한복 한글의 수출과 더불어 우리 문화의 해외 전파 측면에서 봤을 때도 온돌의 위상은 크다고 볼 수 있다. 한류열풍으로 인해 중국은 물론 동남아시아에서 큰 갈채를 받고 있는 상황에 근래에는 유럽은 물론 미국에서도 우리 온돌 보일러에 대한 관심이 크다. 특히 알레르기성 천식과 비염 등 각종 질병을 유발하는 대류식 난방방식의 미국의 경우, 온돌을 사용하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각광받고 있다. 서양에서는 이미 일반화 된 콘덴싱 기술이 우리 온돌문화와 만나 수출 길을 열면서 한국식 온돌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점차 커지고 있다는 사실을 온돌문화의 후손인 우리 모두는 분명 알아야 한다. 세계 최고를 자랑하고 있는 IT 분야의 디지털 기술과 접목한 보일러가 바야흐로 사람이 생활하는 데 있어 쾌적한 실내 환경 조성에 필수적인 설비로 홈오토메이션의 허브로 발전하고 있는 만큼 우리 온돌의 여러 장점들도 그 디테일한 기술에 빗대어 앞으로 더욱 극대화될 수 있길 기대해 본다.

 김준봉/(사)국제온돌학회 회장


   

  최근에 올라온 글들
  가장 많이 클릭한 글
 
학회소개   ../   관련사이트   ../   학회정관   ../   회원가입안내   ../   국토교통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