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Home     즐겨찾기/Favorites
     로그인/Login     가입/Join
 
Home
主页
학회안내
Orientation
介绍
학회자료
Data
资料
논문투고
Presentation Paper
论文投稿
관련단체
Link
链接
입회안내
Join Us
入会介绍
게시판
Community
论坛
통합검색
김준봉  |  구들  |  사진  |  %  |  %E  |  가스  2024년 04월 26일 금요일
게시판Community论坛 > 회원동정
   
  중국 중앙민족대학 박사논문 심사 최종 답변을 하였습니다. 민족학-법학박사-논문개요입니다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10-05-16 06:38     조회 : 7794    

한국어 요약
인류의 문명은 불의 발견과 더불어 발전을 하였다. 또한 불을 이용하여 음식을 조리하고 집을 따뜻하게 난방함으로써 추운 겨울에도 생존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불의 발견과 이용은 인류역사의 발전에 아주 중요한 사항이다. 특히 한랭한 지역에서 인류가 생존하는 데는 난방시설이 필수 적이다. 역사적으로 보면 서양에서는 벽에 불을 때서 벽과 공기를 데우는 벽난로가 주류를 이루었고, 한국과 중국은 방안에서 불을 때는 서양의 벽난로와는 다르게 방 밖의 아궁이를 통하여 불을 때서 방바닥을 데우는 온돌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바닥 난방법은 단순히 주거설비의 역할 뿐만 아니라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등 민족 문화에 골고루 영향을 미친다. 또한 민족의 예절과 생활 등 민속 문화에도 그 영향이 심대하다.
 
이와 같이 중국 북방과 한국의 대표적인 난방방법은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온돌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특히 오늘날까지도 100%온돌에서 생활하는 민족은 전세계에서 한국밖에 없다. 그 만큼 온돌의 발명과 이용, 전파에 있어서는 한국은 많은 탁월한 방법을 보유하고 있으며 계속 전수해 오고 있다. 한복과 한식 한옥 한지 등 한민족의 각종 문화들은 온돌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리고 현재에 이르러 원래 난방을 하지 않던 중국 황하이남지역과 다다미를 주로 사용하여 난방문화가 미약하던 일본, 그리고 신흥국가인 호주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온돌난방문화의 전파가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논문은 온돌의 역사와 특성 그리고 현재의 동아시아 온돌문화의 연구를 통하여 서로 다른 지역과 민족의 이질성과 동질성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러한 온돌난방의 특성을 연구하고 비교함으로서 온돌문화를 통한 민족과 지역간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 단서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국에서는 과거의 온돌은 캉이라고 하고 현재의 온돌은 띠놘 혹은 띠러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한국과 일본 그리고 서양에서는 한국에서 사용되는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난방은 다 온돌 ONDOL이라고 부른다. 온돌은 비록 한자어로 쓰지만 한어에서는 없는 용어로, 한국에서 만들어진 용어이다. 조선 이조 실록에 처음 등장하는 용어이다. 원래의 순 한글로는 구들 GUDLE인데 당시 글자가 없던 조선에서 문자로 표현하면서 온돌(溫突) 이란 글자를 만들었다. 그 뜻은 따뜻할 온(溫)자에 열을 발산하고 돌출한다는 돌(突) 자를 사용하였다. 이 용어는 바닥을 따뜻하게 한다는 축열과 복사난방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직화방식으로는 전기나 기름 등을 이용한 각종 바닥난방도 포함하는 용어이다. 또한 간접난방방식으로 물을 먼저 데워서 이용하는 파이프 온수바닥난방(panel heating)의 의미가 있다. 중국어는 캉(炕)과 띠놘(地暖)이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고 있으나 한국과 일본 등 외국에서는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면 옛날 방법이든 현재의 방법이든 상관하지 않고 주로 사용하는 온돌은 이 두 가지 개념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또한 바닥에 뜨거운 바람이나 온천과 같은 곳에서 뜨거운 물을 작은 파이프룰 통해 내보내 난방하는 중간적 형태의 바닥난방도 온돌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온돌-Ondol-은 이미 영어와 일본어 등 이미 국제어로 되어있다. 중국에서는 아직 온돌이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고 있으나 앞으로 계속 발전되는 미래의 온돌이 나올 경우, 결국 ‘캉’이나 ‘띠놘’보다는 과거와 현재의 의미를 다 포함하는 ‘온돌’이라는 포괄적인 용어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이 온돌난방은 여러 난방 방식 중에서 바닥 축열을 통하여 복사 전도 대류현상을 골고루 활용한 바닥을 따뜻하게 데우는 방법이며, 대류현상을 이용한 더운 공기를 직접 공급하는 Air-conditioning 방식이나, 역시 대류와 복사의 원리를  이용한Radiator(놘치) 설비등의 방법과는 구별이 된다. 물론 과거의 전통온돌은 나무나 볏 짚 등을 사용하여 직접 바닥에 불을 때는 직화방법이었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역시 직화로 연탄이나 기름 전기등을 이용했다. 현재는 전기나 개스 기름으로 직접 바닥을 데우지 않고 먼저 물을 데워서 이용하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연료를 무엇으로 사용하든 또한 직접바닥을 데우든 간접으로 데우든 바닥의 축열과 복사열을 이용하는 방법이 온돌이라 정의할 수 있다.
온돌난방의 특징은 바닥은 뜨겁고 방위의 공기는 차갑다. 그래서 두한족열의 현상이 나타난다. 다른 난방방법은 주로 대류현상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와는 반대로 위는 뜨겁고 아래쪽 부분은 차갑다. 예로부터 발은 따뜻하게 하고 머리를 차갑게 하는 것이 건강에도 유익하다고 알려져 있다. 그래서 온돌은 앞으로 미래 건강과 친환경을 고려한 난방방법으로 널리 사용될 전망이다.
또한 온돌을 사용하면 실내에서 좌식생활위주가 되거나 비록 입식생활을 한다고 해도 실내에서는 신발을 벗는 탈화문화가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온돌의 개념을 기술적이고 설비적인 관점에서 출발 하여 역사적 문화적 관점, 그리고 보건의학과 민속학적인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기술하고 전망하였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온돌의 용어를 정의하였다. 온돌이란 용어는 원래 한국에서 형성된 용어이다. 그러나 지금은 일본과 외국의 영어권 나라에서 널리 쓰이고 있다. 중국은 과거의 직화 온돌인 캉과 지금의 간접가열 온돌인 띠놘으로 불리고 있다. 하지만 한국은 캉과 띠놘이 모두 공존하고 그 중간적인 난방방법도 있다. 따라서 온돌은 캉과 띠놘을 비롯한 모든 바닥난방방법을 통칭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하며, 온돌을 단순히 난방설비의 개념에서 온돌문화의 의미로 폭넓게 주거문화의 개념으로 서술하고자 했다. .
 그래서 먼저 중국의 고문헌을 통하여 온돌의 역사적 기술을 고찰하고 한국의 이조실록 등의 자료를 토대로 온돌 용어의 발생과 온돌의 용어를 연구하였다. 한국에는 AD. 5C이전의 문헌이 거의 없기 때문에 중국의 자료를 참고 했고 그 이후의 자료는 한국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또한 문헌조사와 더불어 한반도 등지에서 발굴된 온돌유적과 유구를 통하여 온돌의 발생과 변화를 탐구하였다. 아울러 온돌의 현대화 과정을 탐구하였는데 전통온돌의 종류와 특성을 기술하고 각종온돌의 종류별 구조와 변천과정을 탐구하였다. 특히 2002년 연변과학기술대학에서 국제온돌학회창립세미나로부터 시작하여 2003년 연변대학 예술학원, 2004년 한국연세대학, 2005년 북경공업대학, 2006년 한국 대한주택공사, 2007년 심양건축대학, 2008년 한국전남대학, 2009년 할빈공업대학에서 열린 국제온돌학회 학술 논문집을 다수 참고 하였으며 국제온돌학회 창립될 때부터 2002년1차에서부터 2009년 8차에 이르는 동안 온돌학회에 본인이 직접 참가하고 온돌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다.
현대의 온돌 부분에서는 소형 보일러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바닥을 데우는 여러 방법들과 전기등을 이용하는 여러 방법들을 고찰하였는데 물을 사용하여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간접 가열방식과 전기를 사용하여 바닥을 직접 데우는 방법 등 현대화된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중국과 한국의 온돌의 사용현황과 특성을 비교하였고, 특히 중국 동북지역의 각 민족의 온돌문화의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일본과 호주 그리고 서양 고대 로마의 온돌문화을 조사 연구하였다. 향후 바닥 취난시설의 변화를 를 고찰하고 온돌문화를 통한 보건의학적 측면과 현대온돌의 발전 방향의 가능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과 구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1장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으로 주거환경에서 난방이 차지하는 중요성과 난방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연구의 범위와 목적 그리고 연구의 가설과 관점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검토를 기초로 하여 그 동안의 연구의 성과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아시아 지역의 온돌문화의 역사를 살펴보고 민족간의 온돌문화를 비교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를 포함한 일본 호주 등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현지답사를 통한 고찰과 각종 논문과 문헌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그리고 기존 연구의 흐름과 현상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제2장은 온돌난방에 관련된 기존 이론과 논문들에 대한 개략적인 고찰을 하였는데, 먼저 온돌의 정의와 취난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온돌의 구조특성과 온돌의 종류 및 형태 등을 고찰하였다.  중국 캉의 개념을 정의하고 캉의 특성을 파악하고 온돌의 건축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전통 온돌의 건축적 구조와 형태를 도면과 그림으로 그려 설명하고 온돌을 종류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온돌의 각 부분 구성요소를 기능과 특성별로 설명하였다.
 
제3장은 캉과 온돌의 역사적 기록과 유적에 대하여 서술하였는데, 여러 가지 난방방법 중에서 온돌을 통한 전통주거문화의 발전과 토기의 발명과의 관계를 기술하였다. 또한 문헌으로 본 온돌역사와 유적으로 본 온돌역사를 고찰하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궁궐인 경복궁의 온돌과 그 역사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서양인들의 기록에 근거한 온돌의 역사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각종 구들 기원설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각종 구들기원 학설과 그것에 대한 소개를 하였다.
 
제4장은  온돌의 역사에 따른 지역별 시대별 온돌문화를 고찰했는데 먼저 중국 동북지역 흑룡강성 요녕성 길림성을 중심으로 온돌문화를 기술하였다. 시대별로는 고구려와 발해시기의 온돌유적을 고찰하고 특히 릉동동굴주거의 취난문화와 시설에 대하여 조사 하였다. 난방방법 중 온돌설비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그리고 고대 중국 동북지방의 고구려와 발해의 온돌문화의 역사적 의의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5장에서는 중국 동북지역 민족별 주거와 온돌문화의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는데 특히 조선족 , 한족, 만족, 몽고족 4개민족의 온돌문화를 조사연구하고 서로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그 외의 소수민족 중국 동북지역의 조선민족 이외의 타민족의 주거문와 주요 난방시설인 캉의 역사와 발전 변화에 대하여 기술하였는데. 먼저 동북 한족의 주거문화와 캉의 구조, 건축 평면과 배치 등을 기술하고, 이어서 만족의 주거문화와 캉, 몽고족의 캉, 기타 혁철족, 다우얼족 등 기타 소수민족의 주거문화와 캉에 대하여 그 종류별로 난방문화특성을 기술하였다. 중국 동북지역의 민족별 전통온돌에 대하여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민가의 주거현상을 먼저 기술하고 각 민족별 온돌의 형식을 분류하였다. 또한 민가 주거형태의 상호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그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여, 각 관계를 도형으로 표현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6장은 한국의 주거문화를 일반적으로 고찰하였는데, 건축평면과 배치방법 등 건축적 상황을 고찰하고 한국민가건축의 특성과 기본시공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온돌의 변화와 발전에 대하여 기술하고 특히 한국 궁궐온돌의 특성과 한민족문화로서의 온돌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7장은 고대 한반도남부지역의 온돌과 일본, 호주, 이탈리아 로마의 온돌문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는데 먼저 각 지역의 온돌의 역사를 기술하고 현대화와 당대의 온돌문화와 현대온돌의 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현대적 온돌의 발전 중에서 물을 이용한 현대온돌에 대하여 기술하였고, 주로 한국에서 이용되는 가정용보일러를 이용한 온수 파이프 온돌과 전기를 이용한 각종 난방방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시중에서 개발 시판되는 상품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각종 현대 온돌의 다양화 경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8장은 온돌문화의 보건의학적 기능과 현대적 계승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는데 친환경 건강시설로의 온돌문화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또한 현대 농촌지역에서의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 미래온돌의 발전 추세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아파트 문화의 도입으로 인한 한국주거건축의 변화과정에 대하여 온돌문화 입장에서 고찰하고 특히 현대온돌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9장은  결론으로, 지금까지 기술한 내용을 종합하였으며 과거의 전통온돌의 발전과정을 전체적으로 기술하고 현대온돌의 발전방향 및 향후 연구과제를 기술하 였다.

키워드 : 온돌(炕,地暖, Ondol), 취난방식, 온돌문화, 현대온돌,

摘 要
人类的文明是与火的发现息息相关的。人类利用火来制作食物并取暖。火的发现和利用是人类发展史上的里程碑。尤其是对于在寒冷地区生活的人类来说,取暖设施是必不可少的。纵观历史,西方国家的取暖方式主要是墙壁边烧火取暖的壁炉,韩国和中国则与西方的屋内烧火不同,是屋外的焚火口烧火来取暖的温突取暖方式。这些地暖取暖方式不仅具有居住设备的功能,还影响到衣食住等民族文化的各个领域上。而且还对民族礼节和民俗文化也有深刻的影响。
如上所述,中国北方和韩国代表性的取暖方式是加热地面的温突取暖方式。至今,100%的人生活在温突上的只有韩国人,他们对温突的发明和利用、传播上保留着无与伦比的宝贵经验并代代相传。韩服、韩食、韩屋、韩纸等韩民族的各种文化与温突文化有着密切联系。现在,冬季本来不取暖的中国黄河以南地区,暖房文化显得薄弱的日本,还有新兴国家澳大利亚等亚澳地区,温突文化得到了迅速发展。这种背景下,本文要通过对温突的历史和特征及现今东亚温突文化的研究来掌握不同地区和民族的异质性和同质性。另外,通过对温突取暖特征的研究和比较,以温突文化为纽带为加深各民族和地区间的相互理解提供依据。
    中国以前把温突称为‘炕’,现在叫做‘地暖’或‘地热’。但是韩国、日本还有西方把在韩国使用的加热地面的暖房方式统称为‘ONDOL’。温突虽然是汉字词但是汉语里是没有的,是韩国制造的汉字词,在朝鲜李朝实录中第一次出现。原来的固有词是‘GUDLE’,但是当时的朝鲜没有文字,为了用文字表达其意,制造了汉字词‘温突’。含义为,温暖的‘温’和散发热量突出的‘突’。此术语包含着加热地面的蓄热功能和辐射暖房的意思,现代的用电或烧油的各种地面暖房方式也包括在此。也指间接烧水取暖的温水管地暖方式。在中国,炕和地暖是不同的概念,但对韩国和日本等国家来说,只要是加热地面的不管是古老的方式还是现代的方式都包括上述两个概念。此外,让热气或温泉水之类的热水通过细管来加热地面的中间形态的地面暖房也称为温突。现在,溫突-Ondol 已成为英语,日语等国际上通用的术语。中国虽然现在不使用温突这一术语,但是随着进一步发展的未来型温突的问世,相信会采用温突这一包括古今的广义的术语,它比‘炕’或‘地暖’范围更大。
在众多取暖方式中,温突暖房方式属于利用地面的蓄热,充分发挥辐射、传热、对流功能的地面暖房方式,区别于利用对流现象的 Air-conditioning 方式或利用对流和辐射原理的Radiant方式。当然,过去的传统温突是燃烧柴火或秸秆来加热地面的直火方式,到了现代出现了使用蜂窝煤、油、电等材料的直火加热方式。现在几乎不用电或汽来加热地面,而是广泛采用烧水加热的方法。不管利用何种燃料,不管是直接加热还是间接加热,利用地面的蓄热和辐射热的方法都是温突。
温突取暖的特点是地面热,上面的空气凉,所以就有头凉脚暖的现象。别的暖房方法主要利用对流现象,所以就会出现上面热下面凉的现象。自古以来,头凉脚暖是人人皆知的益于健康的状态。所以,利于健康的、环保型的温突暖房方式将会有广阔的前景。
温突暖房方式会使室内生活变成坐式生活,即使是立式生活也会促使室内脱鞋文化的形成。
本研究论文以上述观点为基础,从技术的、设备的角度叙述了温突的概念,并从历史文化的观点、保健医学和民俗学的观点出发,做了综合叙述和展望。为此,首先整理了温突的定义。温突这个术语来源于韩国,现今在日本和国外英语圈国家广泛使用。在中国过去的直火温突方式叫炕,现今的间接加热温突方式叫地暖。但是在韩国炕与地暖是共存的,还有中间方式的暖房方式。因此,温突是包括炕和地暖在内的所有的地面暖房方式的术语,本文的叙述要把温突从单纯的暖房设备的概念扩大到温突文化这一居住文化的概念。
首先,通过中国的古文献考察了温突的历史性记述,以韩国李朝实录等资料为基础研究了温突相关术语的起源和含义。在韩国几乎找不到AD. 5C以前的文献,所以参考了中国的资料,之后的资料参考了韩国的。
进行文献调查的同时,通过在韩半岛发掘的温突遗址来探究了温突的发生与变化。随后研究了温突的现代化过程,记述了传统温突的种类和特性并探究了各种温突的种类和变迁过程。尤其是从2002年在延边科技大学举行的国际温突学会创立研讨会开始,2003年在延边大学艺术学院,2004年在韩国延世大学、2005年在北京工业大学、2006年在韩国的大韩住宅公司,2007年在沈阳建筑大学,2008年在韩国全南大学,2009年在哈尔滨工业大学举行的国际温突学会学术论文集为主要参考资料。本人参与了国际温突学会的创立,并从2002年的首次会议到2009年的第八次会议为止发表了多篇温突相关论文。
在现代温突部分,考察了利用小型锅炉的热量来加热地面的各种取暖方式和利用电能的各种方式。其中重点考察了利用加热的水来取暖的间接加热方式和利用电能来加热地面的直接取暖的现代化方式。
最后,比较了中国和韩国使用温突的现状和特点,对中国东北地区各民族的温突文化的特性做了重点比较和分析。此外,还调查研究了日本和澳大利亚、西方古罗马的温突文化。考察了今后的地面取暖设施的变化,记述了温突文化在保健医学方面的发展方向。
关键词 : 温突(炕、地暖、ondol),取暖方式, 温突文化, 现代温突
 
A study on the Ondol Culture of Several Peoples in the North-East Asia.

Kim, June-Bong
Department of ethnology and sociology,
Graduate School Central University of Nationalities, Beijing China
Supervised Professor Huang, You-Fu

ABSTRACT

Taking advantage of fire has enabled human being to survive in harsh winters and to flourish its creative mind in forms of various cultures. Finding fire and harnessing heat energy affect advancement of human history which is desperate to the coldest north-eastern inhabitants of China. The western civilization has used in-door fireplace to warm up room temperature, but most of Korean and some Chinese prefer to use the Ondol to heat up room floor, by he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room.
The Ondol has been widely used and prevailing heating system in Korea for a long time. Almost 100% of contemporary Koreans live with the Ondol. They have inherited time-proven technologies and methods about the Ondol. We think this unique tradition differentiates Korea from other countries. So that it is reasonable to delve into Korean and Chinese traditions of Ondol to enhance human living environment and to apply it to architectural design.
As the term coined in Korea, the Ondol appeared in the “Chosun Dynasty” chronicles for the first time. It is developed from the Original term, Gudle, when the Chosun dynasty did not have its own writing system. The On refers to giving off heat, and dol refers to spring out. This term includes the meaning of radiation heat which means raising the floor temperature, the modern panel heating system which utilize water, and various heating system with electricity. In China,  Kang and Dinuan is used as a similar system of Ondol in Korea, but mean different things, however Korea’s Ondol includes both concepts. The Ondol also refers to floor heating system which utilizes the hot wind paneled through small pipes. As such, the Ondol establishes itself as an international term that is widely used in English and Japanese. In China, the term is not yet universally used in China, but the term will be used for currently developing modern version of the On-dol system.
From such perspective, this research not only takes technique and installation viewpoints, but also offers historical and cultural analysis. The heat transfer path of the Ondol originates from the bottom of a room. The floor-heating system characterizes the Ondol from other air heating systems, i.e. radiator, fireplace, hot air blowers etc. The heat sources of the Ondol are direct fire from firewood, rice cane, weeds, leaves, or converted heat energy from electricity, and hot water pipe. Regardless of various sources, there’s been only one heating object, the room floor.

So that the radiation of heat from the bottom of a room gives “warm-bottom-cool top” condition,
which is believed as the favorable dispersion of temperature for in-door living. The Ondol system is spreading up as more and more people are getting acknowledged of it.
Above all, we defined the meaning of “Ondol” whose calling was initiated by Korean and disseminated into Japan and other countries. Chinese legacy shows “Kang” and “Di Nuan” as the floor heating systems. Koreans realized “Kang”, “Di Nuan” and a hybrid form of them. So, here we describe the Ondol systems cover “Kang”, “Di Nuan” and all sorts of forms of floor-heating system.
We’ve studied the ancient Chinese articles, books, and documents as well as Korean historical evidences and Lee-dynasty(“Chosun”) chronicles. Korean documents earlier than A.D. 5th century is hard to find so that only Chinese references have been researched in that period.
Especially, we’ve explored Korean historical remnants of Ondol and investigated the traces of its origination and development. The modern implementation of Ondol has been also researched in terms of its diversions, attributes, structures and unfolding paths.  This thesis has been influenced by many informative conferences held by Korean housing corporation (2006), college of architecture in Shen yang, China(2007), Cheon nam university in Korea(2008), Haerbin university in China(2009). We’ve attended the 6th, 7th, and 8th conference of the ISO(International Society of Ondol) and referred proceedings of them.
Modernized Ondol uses hot water by boiler and heat generation material by electricity. We’ve researched both of them. We’ve done comparison between China and Korea against utilization and characters and opened up remaining studies and direction.

KEY WORDS : Ondol, Kang, Radiant Floor Heating System, Heating equipment, Culture of Ondol, Modern Ondol.


   

  최근에 올라온 글들
  가장 많이 클릭한 글
 
학회소개   ../   관련사이트   ../   학회정관   ../   회원가입안내   ../   국토교통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