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Home     즐겨찾기/Favorites
     로그인/Login     가입/Join
 
Home
主页
학회안내
Orientation
介绍
학회자료
Data
资料
논문투고
Presentation Paper
论文投稿
관련단체
Link
链接
입회안내
Join Us
入会介绍
게시판
Community
论坛
통합검색
구들  |  김준봉  |  %  |  %E  |  사진  |  Ã©â€¡â€˜  2024년 03월 29일 금요일
게시판Community论坛 > 학회행사일정
   
  지난주 발행된 온돌과 구들문화 책 보도자료입니다
  글쓴이 : 최고관리자     날짜 : 14-09-24 23:32     조회 : 12385    

지난주 발행된 온돌과 구들문화 책 보도자료입니다







온돌과 구들문화














제목
 온돌과 구들문화
 
편저자
 김준봉 외
 
출판사
 도서출판 어문학사
 
분류
 문학-역사
 
발행일
 2014년 9월 3일
 
입고 예정일
 2014년 9월 18일
 
가격
 26,000원
 
쪽수
 444쪽
 
책 사양
 신국판(A5)/양장/1도
 
ISBN
 ISBN 978-89-6184-348-5(93540)
 
홈페이지
 www.amhbook.com
 
블로그
 http://blog.naver.com/amhbook

http://blog.naver.com/amhbook

http://blog.chosun.com/amhbook
 
편집부
 편집1: 02-998-2267

편집2: 02-998-2269
 
영업부
 02-998-0094
 
메일
 am@amhbook.com
 









책 소개



빛나는 문화유산, 온돌과 구들문화를 알리는

국제온돌학회의 주옥같은 글 모음


국제온돌학회는 한국 온돌의 우수성과 실용성을 과학적으로 밝혀 세계에 알려 나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매년 온돌과 구들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논문이 발표되었고, 이를 국제온돌학회 회장 김준봉 교수가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도록 편집하여 『온돌과 구들문화』가 출간하였다.




지은이 소개




김준봉 사단법인 국제온돌학회장 회장/한국현대한옥학회 국제회장/베이징공업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교수/문화재 수리 기능자(온돌)/서울과학기술대학교 겸직교수

리신호 충북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교수/국제온돌학회 공동회장/Ph.D.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Ph.D.

리광훈 서울시립대학교 기계정보공학과 교수/Ph.D.

옥종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축학부 교수/주택대학원장/Ph.D.

강인호 한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Ph.D.

김동열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석사과정

김성구 보령신약 연구소장/의학박사/Ph.D.

김종헌 배재대학교 교수/배재학당 역사박물관장/Ph.D.

문민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기계정보공학과 연구원/Ph.D.

박주희 중국 칭화대학교 박사과정

손영준 금강하이텍(주) 대표이사

오홍식 구들문화원장

유기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연구부, 선임연구원/Ph.D.

유우상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교수/Ph.D.

정민호 전남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협동과정 박사과정

정해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원/Ph.D.

조동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석연구원/Ph.D.

조병호 한시미션 대표/영국 버밍엄대학교/Ph.D.

류경재(일본) 아시아경제문화연구소(일본) 소장/Ph.D.

조셉 윤(호주) 국제통상전략연구원 원장(Director, Institute for International Commerce Research 28 Dash Cr. Fadden ACTd Australia 2904)/Ph.D.

방학봉(중국) 연변대학교 교수/역사연구소장

스테마오(중국) 선양건축대학교 총장/Ph.D.

샤쇼뚱(중국) 선양건축대학교 교수/Ph.D.

안위샹(중국) 선양건축대학교 건축학부 교수/Ph.D.

쑨쓰쥔(중국) 하얼빈공업대학교 건축학부 교수/Ph.D.

챠오윈저(중국) 하얼빈공업대학교 건축학부 교수/Ph.D.

샤즈(중국) 하얼빈공업대학교 건축학부 교수/Ph.D.

정은일(중국) 연세대학교 박사과정

장어환(중국) 중국과학원 교수




목차



들어가면서


온돌과 구들문화


1.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에 대하여 / 김준봉

2. 동양과 서양의 온돌문화와 통(通)문화 / 김준봉, 조병호

3. 건축평면 변화 과정을 통한 온돌의 변천 고찰 / 김준봉, 강인호

-건축 양식의 유입과 생활문화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우리 온돌의 역사, 독창성, 과학성


4. 한반도 남부 지역의 고대 주거지 난방시설에 관한 고찰 / 김동열, 정민호, 천득염, 유우상

5. 문헌과 유구를 통해 본 한국 전통온돌의 역사에 관한 연구 / 김준봉, 박주희

6. 조선 온실건축에 이용된 온돌의 독창성과 과학성 / 조동우, 유기형, 정해권

7. 전통구들의 고래 내부 유동 방향성에 따른 수치해석적 열특성 비교 분석 / 문민종, 리신호, 리광훈


동아시아 구들과 온돌문화


8. 일본의 고대 온돌(ONDOL, 溫突)문화와 현대의 바닥난방 / 류경재

9. 호주 바닥난방 시스템의 현재와 미래 / 조셉 윤

10. 중국 옛 발해 지역 난방시설유적의 재해석 / 김준봉, 방학봉

11. 중국 북방 지역 농촌주택의 구들, 벽체 에너지 절약 연구 / 스테마오, 샤쇼뚱, 안위샹

12. 중국 동북 지구 가목사(자무쓰) 지역 농촌 온돌주택현황 분석 및 절약기술연구 / 쑨쓰쥔, 챠오윈저, 샤즈


온돌의 인증표준과 세계화, 현대온돌


13. 온돌, 구들의 어원과 기원, 변천 전망 / 김준봉

14. 온돌인증 표준과 무형문화재 지정에 대한 고찰 / 리신호

15. 온돌의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등재에 대한 가능성 / 김종헌

16. 현대 온돌시스템 공사수행체계 개선 방안 연구 / 김준봉, 옥종호

-한국의 가정용 보일러의 역사를 통한-

17. 전통구들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친화형 이중바닥 온돌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조동우, 유기형, 손영준

18. 온돌, 그 찬란한 구들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 / 김준봉


보건의학적 관점에서 본 온돌


19. 보건의학적 고찰을 통한 온돌의 쾌적성 연구 / 김준봉, 정은일

20. 온돌과 수맥 보건의학과의 관계에 대한 소고 / 김준봉, 오홍식, 김성구

21. 면역력 증가의 원천인 온돌 / 김준봉, 김성구

-보건의학적 측면에서 본 온돌-


부록


부록1 陇东窑洞的采暖设施 / 김준봉, 장어환

부록2 渤海取暖設施遺址再考 / 김준봉, 방학봉


나오면서
































출판사 서평



빛나는 문화유산, 온돌과 구들문화를 알리는

국제온돌학회의 주옥같은 글 모음


한국의 김장이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김치를 비롯하여 김치를 담그는 문화까지도 그 한국적 가치를 인정하여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인정해준 것이다. 그럼에도 김치 종주국의 위상은 흔들리고 있다. 김치 수출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수입은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어디 이러한 일들이 김치뿐일까.


한국은 모든 국민이 온돌에서 생활하는 유일한 국가다. 고구려, 발해 때부터 시작된 온돌, 구들문화는 바닥부터 데워져 난방 효율이 뛰어나고 사람 몸에도 좋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그럼에도 많은 사람들이 온돌의 가치를 잘 모르고 있고 오히려 다른 나라에서 온돌의 우수성을 인정하여 연구하는 추세다.

국제온돌학회는 한국 온돌의 우수성과 실용성을 과학적으로 밝혀 세계에 알려 나가고 있다. 그 일환으로 매년 온돌과 구들문화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논문이 발표되었고, 이를 국제온돌학회 회장 김준봉 교수가 대중에게 쉽게 다가가도록 편집하여 『온돌과 구들문화』 책으로 출간하였다.


김준봉 교수는 머리말에서 앞으로의 건축은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기본으로 하여 환경을 보존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방향으로 전개해야 한다고 밝히면서 지속 가능한 난방법인 온돌의 우수성을 알린다.


전통 온돌은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물과 바람, 지열 등의 자연에너지를 활용하며 재생 가능한 자연 재료인 흙을 주재료로 하는 생태건강건축이며, 집을 지을 재료를 가까운 곳에서 구하기 쉬워 재활용에 좋은 재료를 쓰는 전통 황토방 구들 건축 등이 미래 건축의 대안이 되고 있다고 한다. 또한 질 좋은 황토가 우리나라 곳곳에 있으며 구들을 만들기에 적절한 석재자원도 무궁무진하다. 일 년 내내 풍부한 강수량과 뚜렷한 사계절로 수목의 성장도 원활하여 우리가 조금만 신경 써서 가꾸기만 한다면 무한히 지속 가능한 목재 자원을 생산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앞서 말한 것처럼 아직도 우리나라가 온돌의 종주국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제약조건과 불편하다는 고정관념 때문에 온돌이 널리 살아나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적고 있다. 전통구들의 장점을 최대한 살리고 약점들을 보완한다면 우리 전통구들만큼 환경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난방법이 없다는 사실을 논문을 통해 알게 될 것이라 이야기한다.


『온돌과 구들문화』는 크게는 온돌과 구들문화, 우리 온돌의 역사와 독창성, 과학성, 동아시아 구들과 온돌문화, 온돌의 인증표준과 세계화, 현대 온돌, 보건 의학적 관점에서 본 온돌이라는 주제로 나누었고 21개의 논문 글이 전개된다. 한국은 물론이고 온돌의 우수성을 알리며 지속적으로 연구해나가는 일본, 중국 등의 동북아 나라의 연구진도 참여하여 이 책이 더 의미 있어졌다. 이번 책을 시작으로 온돌과 구들문화의 우수성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는 기쁨을 누릴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최근에 올라온 글들
  가장 많이 클릭한 글
 
학회소개   ../   관련사이트   ../   학회정관   ../   회원가입안내   ../   국토교통부 바로가기